• 1. 현수교 가설 기술
    세계적 수준의 현수교 건설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당사만의 특수 케이블 가설 공법으로, 세계 최장 현수교인 튀르키예 차나칼레 교량을 성공적으로 완성했으며, 국내에서도 최장 현수교인 이순신대교, 세계 최장 1주탑 현수교인 고군산대교, 국내 최초 3주탑 현수교인 천사대교 등 혁신적인 교량들을 건설했습니다.
    • 케이블 가설용 드라이빙 윈치장치
      윈치 장치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장치로, 하나의 장비로 빠른 작업과 정밀 작업을 모두 할 수 있어, 여러 장비를 구매하고 교체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현수교 케이블 설치 장비입니다.
      • 적용사업지 : 이순신대교, 팔영대교, 고군산대교
      • 지식재산권 : 10-1213317
    • 캣워크 로프 가설 기술
      다리 아래로 지나가는 배들을 위해, 공사용 줄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마트한 기술입니다. 줄이 얼마나 팽팽한지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배가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게 높이를 알아서 조절하여, 공사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적용사업지 : 이순신대교, 팔영대교, 고군산대교, 천사대교
      • 지식재산권 : 10-1190338
    • 비정형 현수교의 갠트리
      갠트리는 문형 구조의 대형 작업 장비로, 다리를 건설할 때 양쪽 케이블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가볍고 효율적인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해 공사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비싼 바다 크레인 대신 이 장비를 사용하면 비용도 절약하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적용사업지 : 고군산대교
      • 지식재산권 : 10-1405010
  • 2. 사장교 가설 기술
    높은 탑(주탑)에서 사선으로 뻗은 케이블로 도로를 지탱하는 다리를 가설하는 기술로, 서해대교를 시작으로 국내외 14개 사장교의 성공적인 시공을 통해 기술을 축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에 의한 케이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콤팩트 케이블 가설 기술과 형상관리 및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인 케이블 장력 측정용 센서(로드셀)을 개발하였습니다.
    • 콤팩트 멀티-스트랜드 케이블 가설 기술
      가느다란 케이블 여러 개를 특별한 방식으로 엮어 만든 튼튼한 케이블을 설치하는 첨단 장비입니다. 이 장비를 사용하면 바람과 흔들림에도 안전하면서, 더 적은 재료로도 긴 다리를 튼튼하게 지을 수 있어 건설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적용사업지 : 세풍대교
      • 지식재산권 : 10-1299963
    • 케이블 장력 조절을 위한 광섬유 로드셀 개발
      사장교 건설 과정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구조 관리와 안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내구성과 정확도가 높아진 광섬유 기술을 개발하여 장력 측정의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시공 단계에서 사용한 장력 측정 센서(로드셀)를 운영 중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케이블의 장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적용사업지 : 서해선 5공구 현장
      • 지식재산권 : 10-1326726
  • 3. 거더인양 및 가설기술
    교량 상판(도로)인 거더를 들어올리는 작업에 필요한 기술로, 장연장 해상교량 등에 주로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거더를 가설함에 있어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양측 거더 동시 인양 기술 및 형상관리 자동화를 통해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프리팹 세그먼트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횡방향 양측 동시 인양 공법
      기존 하루에 1개만 가설할 수 있는 공법에서 양방향 동시 거더 인양을 가능하게 하여 거더 인양속도를 2배 향상시킨 기술입니다. 좌우 균형을 맞춰 인양하므로 장비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하여 장비의 경량화도 가능한 경제적인 공법입니다.
      • 적용사업지 : 브루나이 탬브롱 CC2 현장
      • 지식재산권 : 10-2017-0154694
    • 프리팹 세그먼트 형상관리 가설 시스템 개발
      교량이나 고가도로 건설에서 미리 만들어진(프리팹) 콘크리트 부품들을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컴퓨터로 각 부품의 위치와 모양을 자동 계산하고 조정함으로써, 수천 개의 부품(segment)을 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제작 및 설치할 수 있게 해주어 시공 오차를 최소화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적용사업지 : 필리핀 MCRP 현장
      • 지식재산권 : 개발 소프트웨어(DLPSM)
  • 4. 대형구조물 기초 시공기술
    건물이나 교량을 지탱하는 가장 밑바닥인 기초 부분을 시공하는 기술로, 현수교 및 사장교 등의 장대 특수교량 같은 대형 구조물의 기초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시공하고 있으며, 품질 향상 및 원가절감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기초 지지력최적화 기술
      지반강도 측정이 어려운 풍화대 지반에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물 기초 지지력을 최적의 상태로 설계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기초 공사가 가능합니다. 

      ※풍화대: 암석이 풍화작용을 받는 지대

      • 적용사업지 : Brunei Sungai교량현장, Brunei CC3현장, 호남고속철도현장 등
      • 지식재산권 : 10-0847096, 10-1011013
    • 기초 수직 및 수평 지지력 강화 기술
      대형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초 보강 기술로, 현장에서 타설하는 대형 말뚝의 지지력을 두 가지 방법으로 강화합니다. 첫째, 말뚝 하부에 특수 보강액을 주입하여 수직 하중을 견디는 힘을 높이고, 둘째, 말뚝에 강선을 설치해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까지 효과적으로 지지합니다.
      • 적용사업지 : 부산안골대교현장, 서해선 홍성-송산전철현장, 포승-평택현장 등
      • 지식재산권 : 10-0992751, 10-1069815, 10-1152265, 10-0990201
    • 수상 급속 시공 기술
      수상에서 대형 구조물 기초를 시공할 때 사용하는 첨단 공법으로, 원형의 임시 벽체를 설치해 물을 차단하고 건조한 작업 환경을 만들거나 미리 제작된 특수 구조물(부유식 PC HOUSE)을 활용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기초 공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적용사업지 : Brunei CC2 및 CC3 현장 등
      • 지식재산권 : 10-1816834, 10-1816835, 10-2004960, 10-2139722
  • 5. 성능기반 콘크리트 재료기술
    콘크리트 재료의 성능을 향상시켜 토목구조물의 품질 및 기능을 극대화 하기 위한 재료 기술로, 콘크리트 무다짐 무인력 시공과   무균열 콘크리트 그리고 도로 결빙을 방지한 동절기 무사고 콘크리트 포장 기술 등으로구성되어 있습니다.
    • 콘크리트 고유동화 기술
      일반 강도의 콘크리트에 시멘트를 추가 투입하지 않고도 유동성과 점성을 개선하여, 타설 시 별도의 다짐 작업 없이도 물처럼 스스로 흘러서 충전되는 저시멘트 자기충전 콘크리트 제조 기술로고품질의 콘크리트 구조 시공이 가능합니다.   
      • 적용사업지 : 새만금남북도로3공구, 영암-해남진입도로1공구, 송산-시화연결도로 등 다수
      • 지식재산권 : 10-1985774, 10-1992232
    • 저시멘트 수화균열 저감 매스콘크리트 기술
      친환경 저탄소 재료인 고로슬래그(제철소에서 철을 만들때 나오는 부산물) 및 무수석고(황산염 광물군에 속하는 광물)를 활용해서 많든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로, 일반 콘크리트 대비 10%~30%의 시멘트만을 사용하고도 콘크리트 강도를 낼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가 굳어질때 발생하는 열을 낮춰주기 때문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아 줍니다.
      • 적용사업지 : 부산안골대교, 싱가폴 TTP1 등
      • 지식재산권 : 10-1656853
    • 발열 콘크리트 도로 포장 기술
      탄소나노튜브(벌집모양이 길다란 탄소구조물)를 활용하여 전기전도가 가능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적은 전력 공급으로도 콘크리트가 자체 발열하여 극한의 추위에서도 표면이 얼지 않는 발열 콘크리트 도로 포장 기술입니다.
      • 지식재산권 : 10-2543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