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공유하기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SMS 공유하기
페이지정보를 복사하셔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세요.
내용을 길게 누르면 전체선택 하실 수 있습니다.
DL그룹은 온실가스 감축과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하여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신재생 발전소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신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서 환경적 책임을 다할 것입니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과 1997년 교토의정서 등의 협약을 통해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되었으며, Clean Development Mechanism에 따라 非의무감축국 내 친환경 사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도 의무 이행량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DL그룹 역시 칠레, 파키스탄 등에서 CDM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공동이행제도
(Joint Implementation)
청정개발체제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배출권 거래제
(Emission
Trading System)
의무감축국-
의무감축국 간
온실가스 저감
실적 인정
의무감축국-
非의무감축국 간
온실가스 저감
실적 인정
의무감축국에
배출권 할당 후
저감 실적에 따른
거래 허용
CDM 사업의 일환으로서 칠레 내 105MW 태양광 사업을 개발 중에 있으며, 연간 약 14만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됩니다.
발전 타입 | 태양광 (PV Tracking) |
---|---|
총사업비 | USD 178 Mil. |
용량 | 105MW (8~9MW 사업 총 12개 사업) |
개발자 | DL에너지 (DL그룹 자회사) |
주요 사업 일정 |
|
사업 수명 | 각 사업 상업 운전 개시 후 25년 |
CDM 승인 일정 |
|
온실가스 (CO2) 감축량 |
연간 약 14만톤 |
DL이앤씨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09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 전 현장과 본사 사옥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3자 자발적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해 오고 있습니다.
구분 | Scope1 1) | Scope2 2) | Scope3 3) | 합계 | 실제 감축률 |
목표 감축률 |
---|---|---|---|---|---|---|
2018년 | 22,520 | 66,727 | 163,472 | 252,719 | Base Year | |
2019년 | 13,753 | 41,813 | 149,746 | 205,312 | 18.7 | 30.0 |
2020년 | 16,000 | 39,344 | 147,584 | 202,928 | 19.7 | 30.0 |
2021년 | 17,013 | 32,932 | 116,220 | 166,165 | 34.2 | 31.0 |
2022년 (실적) |
17,520 | 39,481 | 163,651 | 163,651 | ||
2022년 (목표) |
15,314 | 45,374 | 171,849 | 171,849 | 35.2 | 32.0 |
구분 | Scope1 1) | Scope2 2) | Scope3 3) | 합계 |
---|---|---|---|---|
2018년 | - 4) | - 4) | - 4) | - 4) |
2019년 | 7,174 | 2,547 | 7,564 | 17,285 |
2020년 | 10,397 | 1,170 | 27,414 | 38,981 |
2021년 | 6,149 | 957 | 16,972 | 24,078 |
2022년 (실적) |
6,059 | 1,468 | 5,324 | 12,851 |
2022년 (목표) |
- 4) | - 4) | - 4) | - 4) |
DL이앤씨는 예상 에너지 사용량을 검토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고 영향도에 따라 중요 에너지시설을 분류하여 저감 목표를 수립합니다. 또한, 수립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량적인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성과관리를 실시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고 있습니다.
구분 | 분류 | 단위 | 연도 | |||
---|---|---|---|---|---|---|
2019 | 2020 | 2021 | 2022 | |||
에너지 사용량 1) | 총 에너지 사용량 | TJ | 2,040 | 1,242 | 1,060 | 1,211 |
비재생에너지 사용량 | TJ | 2,038 | 1,239 | 1,055 | 1,206 | |
재생에너지 사용량 | TJ | 2.5 | 2.5 | 4.8 | 4.7 | |
녹색 프리미엄 구매 | TJ | 0 | 0 | 0 | 0 | |
제3자 PPA | TJ | 0 | 0 | 0 | 0 | |
REC구매 | TJ | 0 | 0 | 0 | 0 | |
자가발전(소비) 2) | TJ | 2.5 | 2.5 | 4.8 | 4.7 | |
재생에너지 발전량 | 자가발전(발전) | TJ | 2.5 | 501.0 | 480.0 | 499.4 |
재생에너지 판매량 | 자가발전(판매) 3) | TJ | - | 498.5 | 475.2 | 501.9 |
에너지 집약도 | 원단위 사용량 4) | TJ/억원 | 0.026 | 0.014 | 0.014 | 0.016 |
연도별 에너지 사용량 |
전력 | TJ | 837.0 | 790.0 | 668.2 | 819.4 |
연료(도시가스, 프로판, 기타유류) | TJ | 2,338.9 | 2,354.9 | 1,920.6 | 357.4 | |
기타(스팀, 갈탄) | TJ | 19.4 | 16.2 | 16.1 | 29.1 | |
에너지 사용량 목표 | 에너지 사용량 목표 | MWh | - | - | - | 1,401 |
구분 | 위 험 | 기 회 |
---|---|---|
주요 요인 |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온실가스 규제강화, 탄소거래가격 상승, 원자재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 | 정부 정책 전환, 기후변화 관련 신사업 추진(CCUS 등),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 확대 등 |
시 점 | 중장기 | 중장기 |
주요 잠재적 재무 영향 |
49,019 | 10,455,482 |
관리비용 | 7,811 | 5,936 |